살아가는 이야기
[스크랩] 잊어서는 안될 우리의 역사. 한국전쟁에 대한 역사적 평가
*열무김치
2010. 6. 28. 21:37
<!-BY_DAUM->
그러나 이땅에서 꽃다운 삶을 마감한
전세계 수많은 젊은이를 추모하면서 정리한 자료 입니다.
1. 파리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비 !
파리 세느강 마레다리 근처에 위치한 한국전 참전기념비
2. 호주캔버라 Korean War Memorial, Canberra
한국전쟁 가평전투에 참가한 호주군인들
3. 캐나다
*- 한국전쟁기념비 -*
4. 워싱턴,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관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링컨기념관 인근에 있는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관
(Korean War Veterans Memorial)의 기념 조형물은 미국
성조기를 향해서 우비를 입은 한 소대가 전진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조각상 양쪽으로 서 있는 벽에는 한국전쟁 참전용사
2, 500명의 얼굴들이 레이저로 새겨져 있다.
미국은 한국전쟁에 150만 명이 참전하여 5만 4000명이 사망하고
11만 명이 잡히거나 부상당했으며, 8, 000명이 실종되었다.
가운데 게양되어 있는! 성조기 아래에는 "조국은 그들이
전혀 알지도 못하는 나라와 한번도 만나본 적 없는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조국의 부름에 응한 아들 딸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 Our Nation honors her sons and daughters who answered
the call to defend a country
they never knew and a people they never met) "라고 적혀 있다.
5. 맨하탄의 한국전쟁 참전 기념비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군인들을 기리는 장소가 뉴욕 맨하탄의
최남단 배터리 파크 내에 있다.
배터리 파크 내에는 수많은 기념물과 기념탑이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기념물이 군인 형상의 구멍 뚫린 조각물이다.
이것이 바로
6. 미국 Connecticut (컨네티컷) West Haven의
7. 미국 Atlantic City의 한국전 참전기념비
8. 미국 Staten Island에 위치한
9. 보스톤의 한국전쟁기념비
☞ Korean War Veterans of Massachusetts,
Charlestown Navy Yard
출처: 오니온맵 플로그 찰리의 사진첩
10.남아공의
11.터키 한국전쟁 참전기념탑
한국전쟁 참전 토이기(터키)기념탑에 있는 참전 희생자 명단
터키 수도 앙카라 한국 공원에 있는 높이 9m의 4층짜리
‘한국전쟁 참전토이기(터키)기념탑’
서울-앙카라 자매결연을 계기로
1973년 11월, 1년여간 시공을 거쳐 세워진 탑이다.
12.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촌(한국마을)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유엔군의 일원으로 6·25 전쟁에 참전했다.
에티오피아군은 화천, 금화, 양구, 철원 등 강원도의
최전방지역에서 공산침략군과 싸웠다.
한국전 참전 16개국 중 유일하게 포로가 없을 정도로
에티오피아군은 가장 용맹스러운 군대였다고 한다.
춘천시는 국가보훈처의 후원으로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 아픈쵸베르 공원에 참전용사회관과 기념탑을 건립했다

1. 유엔군 초전기념비(경기 오산시)
유엔군 참전기념비는 한국전쟁(1950년 6월 25일)시
유엔군의 일원으로 1950년 7월 5일 미군 제 24사단 소속
제21보병부대 및 제 52 야포대대 소속 1개 중대로 편성된 스미스
전투부대 406명의 장병이 북한과의 최초 전투를 기념하기
위하여 1955년 7월 5일 미군 제 24단과 장병에 의하여 건립되었다.
2.UN묘지 ( 부산 남구 대연동 779번지 일대)
남구 대연동 779번지 일대의 면적 144, 146㎡로 유엔 묘지는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도발에 의해 한반도에 전쟁이 일어나자
한국을 돕기 위해 참전한 16개국의 전투지원국과 5개국의 의료지원국의
유엔군 장병의 전사한 영령을 안치한 곳이다.
1951년 1월 18일에 묘지를 조성 설치하고, 1955년 11월 15일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세계에서 오직 하나 뿐인 유엔 관리의 묘지로,
1959년 유엔과 우리정부 사이에 묘지의 영구적인 관리 및 사용을 위한
협정이 성립되었으며, 1974년에는 관리권이 영령을 안치한 참전국
11개국으로 구성된 국제연합기념관리위원회에 이관되었다.
현재 이곳에 안치된 영령은 영국 884, 터어키 462, 캐나다 378,
오스트레일리아 281, 네델란드 117, 프랑스 44, 뉴우질랜드 34,
미국 19, 남아프리카공화국 11, 노르웨이 1, 한국 36, 무명용사 4,
비전투원 11기로서 총 2, 282기가 안치되어 있다.
처음 이곳에 묘지가 설치될 때 묘의 수는 미국 등 16개국 11, 000기
이었으나 이디오피아, 태국, 그리이스, 룩셈부르크, 콜롬비아 등
5개국 전몰장병 묘를 이곳에서 본국으로 이장해 갔기 때문에
현재의 기수(基數)로 줄었다.

▲ 묘역내 기념관 내부 ▲
3.유엔군 참전기념비
높이 12.05m, 16개의 기둥으로 탑신을 이루고,
기둥의 중간부분에 각국 의 특색을 살린 군인상을
청동으로 조각해 붙였으며, 기둥끝에 각국의 국기를 게양토록 했다.
세계유일의 유엔군 묘지인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건립된 뉴질랜드 한국전 참전 용사 기념비.
APEC정상회의 참석차 부산을 찾은 뉴질랜드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제막식을 가졌다.
Mozart Requiem KV626 (진혼곡)
<FACE="TIMES" color="#ffffff">
Mozart / Requiem (그들에게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
4.한국전쟁 유엔군 자격 참전국 현황
한국전쟁 참전군은 UN과 중공군 모두 합해서 수백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고한다 부상자들과 그 가족까지 합하면 몇 백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한국전쟁으로 피눈물을 흘린 것이다.
|
![]() ![]() ![]()
|
출처 : 백합 정원
글쓴이 : lily 원글보기
메모 : `
요즘 젊은이에게 625을 말하여 보세요..
어디 먼 나라 이야기 하는 줄 압니다..
참으로 가슴 아프고 한심한 일 입니다.
어디 먼 나라 이야기 하는 줄 압니다..
참으로 가슴 아프고 한심한 일 입니다.
젊은이들도 그렇지만 기성세대의 책임도 크다고 봅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이에대한 교육이 미비했던것도 사실이니까요.
전후세대가 많아지는 지금 새로운 교육시점이 다가온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이에대한 교육이 미비했던것도 사실이니까요.
전후세대가 많아지는 지금 새로운 교육시점이 다가온것 같습니다.
군번을 들고있는 동상 사람인줄 알았습니다
표정이 너무 리얼해요
왜그런지는 몰라도 제 가슴이 철렁 내려앉더군요
저는 분명 죄 지은건 없는것 같은데 말입니다 ㅎㅎ
표정이 너무 리얼해요
왜그런지는 몰라도 제 가슴이 철렁 내려앉더군요
저는 분명 죄 지은건 없는것 같은데 말입니다 ㅎㅎ
- ★ 미다스 kan7ry
- 2010.07.01 21:57 신고
- 수정/삭제 답글
정말 많네요..
사망자 비율을 보니 다른 나라 다 합쳐도
우리나라 사망율과 비슷하네요.
가슴아픕니다.
사망자 비율을 보니 다른 나라 다 합쳐도
우리나라 사망율과 비슷하네요.
가슴아픕니다.
요즘 학생들이 6,25전쟁을 잘 모른다는 말에 너무 놀랐습니다.
역사교육이 부실한것인지 안보의식이 사라진건지 구분이 안서네요.
안타깝습니다.교육이 바로 서야지 안되겠어요.
역사교육이 부실한것인지 안보의식이 사라진건지 구분이 안서네요.
안타깝습니다.교육이 바로 서야지 안되겠어요.
저의 아버지도 6.25때 전사하셨는데 어떤모습으로 숨을 거두셨을까
요즈음 방영되는 전쟁드라마에서 처절함과 숙연함을 느낍니다
이러한 죽음에는 참전용사라고 하고
얼만전 총한번 쏴보지도 못하고 어떤사고로 죽은자들에게는 영웅이라고 하니
도저히 이해할수없는 것이라 생각해봅니다
진리란 항상 변하는것이란 말이 이럴때 느껴지기도 합니다
잠시 들렀다가 저의 주위를 다시한번 깨우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
요즈음 방영되는 전쟁드라마에서 처절함과 숙연함을 느낍니다
이러한 죽음에는 참전용사라고 하고
얼만전 총한번 쏴보지도 못하고 어떤사고로 죽은자들에게는 영웅이라고 하니
도저히 이해할수없는 것이라 생각해봅니다
진리란 항상 변하는것이란 말이 이럴때 느껴지기도 합니다
잠시 들렀다가 저의 주위를 다시한번 깨우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